
19개월 된 아기가 아직 말을 하지 않는다면, 걱정될 수 있지만 아이마다 발달 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몇 가지 체크해 보면 좋은 요소들이 있어요.
🔎 점검해야 할 사항
✅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있는가?
- 눈을 맞추거나, 손짓(가리키기, 흔들기)을 사용하나요?
- 부모나 주변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반응하나요? (예: "안녕!" 하면 손을 흔든다)
✅ 소리를 내거나 옹알이를 하는가?
- ‘마마’, ‘빠빠’ 같은 소리를 내거나, 자신만의 방식으로 말하려 하나요?
- 소리의 억양이 다채롭나요? (질문하듯 올리거나 감정을 담아 표현하는지)
✅ 이름을 부르면 반응하는가?
- 자기 이름을 부르면 돌아보거나 반응하나요?
✅ 주변 소리에 반응하는가?
- 소리에 반응이 없다면 청력 문제 가능성도 체크해야 해요.
✅ 장난감 놀이, 상호작용이 있는가?
- 까꿍 놀이, 공 던지고 받기 등 상호작용 놀이를 하나요?
🚨 언어 발달 지연이 의심될 수 있는 경우
다음과 같은 경우라면 전문가 상담을 고려해 보는 게 좋아요.
- 18개월 이후에도 의미 있는 단어(‘엄마’, ‘아빠’, ‘맘마’ 등)가 전혀 없음
- 가리키기, 손짓 등 의사소통 시도도 거의 없음
- 이름을 불러도 거의 반응하지 않음
- 단순한 지시(“공 가져와”)를 이해하지 못함
-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관심이 거의 없음
🏥 언제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까?
19개월 아기가 의미 있는 단어 없이 완전한 무발화라면, 소아청소년과 또는 언어치료 전문가와 상담해보는 것이 좋아요. 언어 지연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, 조기에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➡️ 도움이 될 수 있는 활동
✔️ 반복적으로 말 걸기: 짧고 쉬운 단어를 자주 들려주세요.
✔️ 가리키며 말하기: 사물을 가리키면서 "이건 차야"처럼 설명해 주세요.
✔️ 아이의 반응을 기다리기: 말하려는 시도를 격려하세요.
✔️ 놀이를 통해 언어 자극 주기: 그림책, 역할놀이, 노래 등이 효과적이에요.
📌 19개월 아이의 평균 언어 발달 수준
일반적으로 19개월쯤이면:
✔️ 10~20개 정도의 단어를 말할 수 있음 (예: 엄마, 아빠, 맘마, 까까, 차, 강아지 등)
✔️ 간단한 지시를 이해하고 따를 수 있음 (예: “공 가져와” 하면 공을 가져옴)
✔️ 몸짓(가리키기, 손 흔들기)과 함께 의사소통을 시도함
✔️ 옹알이하거나 자신만의 말소리를 내며 대화하려는 시도를 보임
💡 하지만 발달 속도는 개별 차이가 큼
어떤 아이는 50개 이상의 단어를 말할 수도 있지만, 어떤 아이는 2~3개만 말할 수도 있어요.
❗ 언어 지연이 의심되는 경우
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전문가 상담을 고려하는 것이 좋아요.
🚨 18~19개월인데도 의미 있는 단어를 전혀 말하지 않음
🚨 가리키기, 손짓 등 비언어적 의사소통도 거의 하지 않음
🚨 이름을 불러도 거의 반응하지 않음
🚨 간단한 말(“안돼”, “이리 와”)을 이해하지 못함
🚨 주변 소리나 대화에 관심이 거의 없음
이런 경우, 소아청소년과나 언어치료 전문가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.
🎯 언어 발달을 돕는 방법
부모가 일상에서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들을 알려드릴게요.
✅ 말을 많이 들려주기
- 아이에게 짧고 쉬운 문장으로 반복적으로 말해주세요.
- 예) “이건 강아지야. 강아지가 멍멍 짖네!”
✅ 가리키며 말하기
- 아이가 관심을 보이는 것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단어를 들려주세요.
- 예) 아이가 자동차를 보면 “차야, 붕붕~” 하고 반응해주세요.
✅ 아이가 반응할 시간을 주기
- 말을 따라 하도록 강요하기보다는, 아이가 반응할 시간을 주세요.
- 예) “이게 뭐야?” 하고 물어본 후 기다려 주세요.
✅ 질문 대신 선택지를 주기
- “이거 먹을래?” 대신 “바나나 먹을래? 사과 먹을래?” 이렇게 구체적으로 말하면 아이가 단어를 배우기 쉬워요.
✅ 노래와 책 활용하기
- 반복적인 노래(예: 곰 세 마리)나 그림책 읽기는 언어 발달에 매우 좋아요.
- 그림책을 보면서 “강아지가 어디 있어?”라고 물어보면 아이가 손가락으로 가리키거나 소리 내도록 유도할 수 있어요.
✅ 아이의 말에 반응해 주기
- 아이가 “멍멍” 하면, “그래, 강아지가 멍멍 짖네!” 하고 확장해서 말해주세요.
🏥 언제 병원이나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까?
🔸 18~24개월 사이에 단어가 거의 없거나 의사소통 시도가 부족할 때
🔸 또래 아이들과 비교했을 때 언어 발달이 현저히 늦을 때
🔸 소리에 대한 반응이 없거나, 눈맞춤이 적고 상호작용이 부족할 때
➡️ 이런 경우에는 소아청소년과(발달 클리닉) 또는 언어치료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아요.
'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9개월아기 감기 코감기 걸렸을때 (4) | 2025.03.27 |
---|---|
19개월 아기 간식이 중요한 이유 (7) | 2025.03.18 |
19개월 아기 설사 원인 (10) | 2025.03.14 |
19개월 아기짜증, 재접근기 (6) | 2025.03.14 |
19개월 아기 콧물 색깔에 따른 원인 (5) | 2025.03.13 |